본문 바로가기
일반드라마리뷰

2009외인구단, 20년이 지난 오혜성은 가정파괴범으로 느껴질까?

by 뷰티살롱 2009. 6. 14.
반응형

80년대 출간되어 만화계에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바 있는 이현세의 <공포의외인구단>은 만화라는 장르가 아이들의 세계가 아닌 어른들의 세계로까지 이탈시켜 놓았던 문제작이기도 하다. 그 때문인지 영화계에도 이현세의 <공포의외인구단>을 영화화시켜 놓았는데, 그것이 1986년에 개봉한 바 있는 이장호의 외인구단이라는 영화다. 얼핏 보기에 두개의 작품은 다른 제목을 쓰고 있는데, 영화계에서는 '공포'라는 단어가 부적절하다는 판결을 내려서 부득이하게 감독의 이름으로 재탄생되었었다. 86년에 개봉된 <이장호의 외인구단>은 이보희와 최재성이라는 두 남녀배우의 로맨스를 통해 원작만화의 묘미를 살려내며 당시 흥행에도 성공했었고, 최재성이라는 배우는 그 이후에도 까치의 이미지를 오랜동안 지니면서 연예계에 남았다.

그리고 2009년도에 드라마로 방영을 시작한 <2009외인구단>은 윤태영과 김민정, 박성민으로 이루어진 오혜성-엄지-마동탁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원작만화가 발표되고 영화가 개봉된지 20여년이 지난 후 만들어진 리메이크라는 점에서 학창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할만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역시 세월의 힘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너무도 무뎌진 감정이라서일까.... 과거 고등학교 시절에 만화방에서 읽었을 때의 감흥이라기 보다는 <2009외인구단>을 보면서 오혜성의 저돌적이고 독기서린 고집과 미련하기 짝이없었던 엄지와의 사랑, 그리고 광기와 집착의 대명사로 기억되던 마동탁에게서 과거의 느낌이  살려나지 않는다.

만화만이 전달해줄 수 있는 감동이 따로 있듯이 어찌보면 이현세의 원작이 전해주는 이미지를 100% 드라마를 통해 표출해내기에는 역부족이 될법도 하겠지만, 만화에서 보였던 <외인구단>의 실체는 어떠했을까. 조상구나 최관, 백두산, 나경도 등의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했던 원작만화에서 그들의 모습은 단순히 액스트라 수준을 넘어서 개개인의 인간적 승리로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인상적인 인물이 있었다면 개인적으로는 2군투수이자 퇴물투수였던 조상구라는 캐릭터다. 마동탁에게 철저하게 무너지고 퇴물투수로 전략해 있던 조상구에게 있어서 가족이란 아니 아들이라는 존재는 삶의 전부였다 할만하다. 그런 점에서는 드라마에서 보여진 바와 다를 바가 없지만, 만화에서 보여졌던 야구라는 점과의 통합성은 부족하게만 보여진다. 조상구는 원작에서 최고의 마구인 너크볼을 만들어내기 위해 손가락을 자르기까지 한 '광기에 사로잡혀 있는 인물이나 다름없을 만큼 충격적인 인물이다. 전혀 회전이 없어 타자가 공을 치더라도 멀리나가지 못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볼이 너크볼의 정체였다. 공포의 외인구단은 어찌보면 오혜성과 마동탁의 숙명의 대결로 보일 법 하지만, 야구라는 스포츠 종목으로 보자면 조상구와 마동탁의 대결로 보일만큼 강렬하기까지 했었다. 일일이 다른 캐릭터들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많은 부분이 있을 듯해 각설하고.....

드라마 <2009외인구단>은 원작이 발간되고 20여년이 지난 후에 다시 만들어졌다. 그런만큼 시대로 변하고 가치관도 달라진 모습일까. 마동탁의 광기와 집착은 그다지 그 단어사용에 부적절해 보이기만 하다. 어찌보면 드라마의 미흡한 연출탓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엄지와 마동탁의 결혼생활에서 살아돌아온 오혜성은 과거 사랑에 마친 모습이라기 보다는 한 가정의 파괴범으로 보일만큼 캐릭터의 성격이 죽어있는 모습이다. 달리 말하자면 마동탁에게서는 집착과 광기가 빠진듯한 모습이라고 할 만도 하거니와 오혜성의 광기또한 너무도 약하게만 보인다고 할 만하다.

 
드라마에서 마동탁은 가정을 지켜내기 위한 한 가정의 남자로 보일뿐이다. 그 가정이 만들어진 결과가 오혜성의 죽음을 모르고 있었다는 점도 있겠거니와 구단주와의 관계에서도 불륜의 금을 넘지 않은 옳곧은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만화에서도 그랬을까?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한 여인의 지아비가 된 마동탁은 자신의 가정이 파탄되는 것을 볼 수 없을 뿐이고보면 엄지에 대한 오혜성의 집요한 집착이 오히려 얄밉게만 보인다.

더욱이 <외인구단>의 중심인물들의 모습들도 20여년이 지난 후에 느껴지는 이미지는 너무도 가벼워진 모습이다. 조상구, 나경도, 최관, 최고의 사령탑이자 과묵하기까지 했었던 감독 손병도까지도 드라마 속 <2009외인구단>의 맴버들은 가벼워 보이기만 하다. 전승무패를 자부하던 손병호는 매 경기마다 위기의 순간을 이겨내지만 좀처럼 그의 입가에서는 웃음을 찾아보기 힘들만큼 썬그라스 너머로 고독하기만 한 인물이다. 시대는 바끼기 마련이고, 스포츠도 바끼기 마련인지 손병호의 캐릭터에도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20여년 전에 만화를 읽었을때의 모습이 더 생각이 난다.

세월이 지나고 나서일까? 학창시절에 <공포의외인구단>을 읽으면서 느꼈던 청춘의 방황과 사랑을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한 가정의 존립에 더 이끌리게 되는 것은 어쩌면 그 대열에 서 있기 때문은 아닐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