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드라마리뷰

친구, 우리들의전설 - 드라머로의 리메이크 성공할 수 없는 이유

by 뷰티살롱 2009. 6. 28.
반응형

2001년 곽경택 감독의 <친구>는 장건동, 유오성, 서태화, 정운택 주연으로 그 해 800만명을 동원하며 영화계에 이슈가 되었던 영화다. 사회적으로 학창시절의 여운을 뒤로 한 영화라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추억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만들었다고 할 수도 있겠고, 우정이라는 말을 생각하게 만들었던 영화였었다. 영화 <친구>가 드라마로 리메이크되어 안방극장에 선을 보인다는 말에 한편으로는 기대감이 들기도 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려도 없지 않아 있었다.

영화 친구는 솔직히 말하자면 폭력의 미학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폭력적 묘사가 많았던 작품이었다. 더욱이 학창시절의 추억이라고는 하지만, 등장인물들이 조폭의 무리들이 넘실대는 그야말로 과거의 이야기라는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면이 없지않아 있다. 그럼에도 흥행에 성공했던 것은 어찌보면 주연배우들의 눈에 띄는 캐릭터 창조가 주효했다 할만하다. 장동건이 연기했던 동수와 유오성이 연기했던 준석이라는 캐릭터는 영화가 막을 내렸음에도 곧잘 패러디화되어 CF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에서 선을 보였을 만큼 강렬함을 자아냈었다.

잘 짜여진 시나리오, 그리고 리메이크의 한계

한편의 영화가 관객에게 사랑받기까지는 배우들의 열연이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중에서도 탄탄한 시나리오를 뒤로 할 수는 없다. <친구>는 장동건과 유오성의 불꽃튀던 캐릭터의 포스가 압권이었던 것도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시나리오의 탄탄한 전개가 뒤받침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시나리오의 탄탄함이 먼저냐 배우의 연기가 먼저냐를 시시비비로 가리기엔 역부족이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그렇지만 장동건과 유오성이라는 배우의 이름 석자만으로도 족히 흥행몰이를 할 수 있었던 작품이 <친구>라는 영화였다는 점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2001년 당시 소위 잘나가던 흥행보증수표로 장동건이라는 배우를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무리 인기있는 배우가 등장한다 하더라도 시나리오의 어눌함이 있다면 성공하기 힘들다는 게 영화다. <지구가멈추는날>이라는 영화는 SF액션영화의 흥행보증수표라 할만한 헐리우드 대형배우인 키아누리브스가 출연했던 영화지만 최고의 영화로 평가할 수 있는 관객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고, 시나리오의 엉성함은 마치 스타 한명을 출연시킴으로써 흥행이 보장될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에 일침을 놓은 영화라 할만하다.
 
이야기가 엇나간 듯 해서 이쯤에서 화제를 돌려 영화 <친구>의 드라마인 <친구,우리들의전설>에 대해서 얘기해보도록 한다. 첫회가 방송되고나서 드라마의 성패에 대해서 미리부터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 리메이크라는 점은 어찌되었든 시대가 바뀌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정이 달라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영화 <친구>가 상영되고 무려 8년이란 시간이 지난 2009년에 드라마로 제작된 <친구, 우리들의 전설>은 영화의 환경설정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모습이다. 장동건의 동수에서 현빈의 동수로, 유오성의 준석에서 김민준의 준석으로 안방극장을 찾아온 작품이다.

리메이크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과연 <친구, 우리들의 전설>은 드라머로도 성공할 수 있을까? 답은 어찌보면 간단해 보인다. 전작의 기대치가 한껏 올라간 상태에서 속편의 성공은 최근들어 보장받을 수 있는 시대다. 과거에는 전작만한 영화는 없다라는 말이 자주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전작을 능가하는 속편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CG나 자본력의 투입으로 그러한 말이 가능해졌다고 할 수 있겠지만 시나리오 작업부터 미리 속편제작을 염두에 두고 사전제작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리메이크라는 점에서는 다른 얘기가 된다. 영화로 만들어졌던 <친구>가 드라마로 리메이크로 된다는 점에서는 어느정도 원작의 배경을 따른다는 얘기이고, 캐릭터또한 원작의 등장인물과 그다지 차이는 없음을 뜻한다. 드라마 <친구, 우리들의 전설>에서 현빈과 김민준이 캐릭터를 살려내기 위해서 독특한 캐릭터라이징을 했다 하더라도 어찌보면 원작에서 장동건과 유오성이 연기했던 캐릭터를 완전히 무너뜨릴 수는 없어 보인다. 그것이 리메이크화된 드라마가 가진 한계라 할 수 있다.


예견된 결말, 원작과 비교당하는 잣대

리메이크 작품들이 성공할 수 없는 이유가 캐릭터 구축이 어렵다는 점이 첫번째 이유지만 배우의 역량에 따라 캐릭터 구축은 변화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렇지만 성공요인을 좌우할 수 있는 극적 클라이막스와 긴박감은 어떻게 해결할까. 결말을 180도로 달리 만들어낸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전개는 원작의 이야기를 따르지 않으면 안되는 게 리메이크 작품들의 지낸 한계점이다.  결국 리메이크라는 부분에서 시청자들은 과거의 회상은 떠오릴 수 있지만 드라마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극적인 클라이막스가 전해주는 흥분을 느끼기는 어렵다. 또한 이미 원작을 통해 어떠한 결말을 안고 전개될 것이라는 것을 추측하게 된다.

드라마에서 동수와 준석의 결말이 어떻게 될 것이라는 것은 어찌보면 이미 예견된 결말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예견된 결말을 가지고 있는데, 굳이 마음졸이며 시청하는 시청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사극은 결말이 다 나와 있는데, 왜 보는가라는 질문이 나올 수 있겠지만, 사극과 현대물과의 차이는 어떤점을 부각시켜 주는가하는 점이다. 사극이라는 장르를 통해서 시청자는 주연을 맡고 있는 과거 조선시대나 고구려, 신라시대의 인물이 나중에 어떻게 될 것이라는 것은 미리부터 알고 있는 부분이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각색되어 제작된 것이 사극이라는 장르기 때문이다. 결국 사극이 주는 재미는 그 인물이 어떠한 일을 했던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루어나갈 것인가가 주요 시청 포인트가 되는 셈이다.

<친구, 우리들의 전설>은 현대물이다. 또한 시나리오의 커다란 흐름인 극의 전개나 등장인물의 성격들이 이미 100%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나 마찬가지다. 현빈과 김민준의 카리스마 연기가 물에 오른다 하더라도 장동건과 유오성의 포스를 넘지 못한다면 드라마로의 성공은 사실상 어려운 것이나 마찬가지다.

시대는 변한다. 시대에 맞는 변화가 성공요인

리메이크라는 점에서 원작의 시나리오를 무시할 수 없겠지만, <친구, 우리들의전설>은 넘어야 할 산이 너무도 많다. 가장 우선적으로는 원작의 주인공들의 이미지를 깨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점은 배우들의 몫이 크다 할 수 있겠다.

또 한가지 시대에 맞는 시나리오의 수정이 필요하다. <친구, 우리들의전설>을 얘기하기에 앞서 전작인 <2009외인구단>이라는 드라마를 떠올려본다면 어떨까. 드라마를 보면서 내

<이현세의 공포의외인구단, 영화로 제작되었던 <이장호의외인구단>을 드라마로 리메이크한 <2009외인구단>은 작품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마동탁과 오혜성의 대결과 엄지와 오혜성의 관계를 종지부찍지 않은 채, 어설픈 결말을 남긴 채 끝이났다>

내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할 수 있는 작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혜성과 엄지의 사랑놀이는 시셋말로 불륜이라는 코드가 어울릴 법하게 그려졌고, 오혜성과 마동탁의 대결에서 과연 누가 주인공일까라는 생각이 떠나질 않던 작품이었다. 집착과 광기의 대명사인 마동탁은 광기를 버렸고, 투지와 집념의 대명사였던  오혜성은 단란한 가정을 파괴하는 휘방꾼의 모습으로 전락해버린 듯한 모습이었다. 완전히 등장인물들이 캐릭터 구축에 실패한 드라마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2009외인구단>은 종지부를 찍었다. 더욱이 시청자를 우롱하는 듯한 극적결말(?)의 모습에 게시판은 조롱의 댓글세례를 받았던 작품이다.

<친구, 우리들의전설>은 어쩌면 계속적으로 원작과 비교함을 강요당하는 작품이다. 왜냐하면 시청자들은 800만명을 동원했던 원작을 추억하기 때문이다. 현빈과 김민준의 새로운 연기대결을 기대해 볼 수 있겠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리메이크 작품의 시대를 열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