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극드라마리뷰

해를품은달 18회, 비로소 왕이 된 훤

by 뷰티살롱 2012. 3. 6.
반응형

마지막을 2회 남겨놓고 MBC의 총파업이라는 좋지않은 소식이 들려오네요. 수목드라마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해를품은달>은 이제 심판이라는 결말만을 남겨놓고 있는지라 마지막으로 향하는 결말에 시선이 빼앗길 수밖에 없는 드라마입니다.죽은줄 알았던 연우(한가인)이 살이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훤(김수현)은 이제 외척세력에게 그 죄를 물으려 합니다. 흑주술을 이용해 세자빈을 죽음에 이르게 했던 음모가 밝혀졌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훤의 결정에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게 한 것은 다름아닌 민화공주(남보라)였습니다.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게 하는 무서운 흑주술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깊은 욕망을 가진 재물이 필요했었는데, 민화공주는 연우의 오라비인 허염(송재희)을 얻고자 하는 소망이 너무도 깊었습니다. 하지만 대비(김영애)의 철저하게 만들어진 그물같은 음모에서 민화공주는 본의아니게 연우를 죽이게 했던 흑주술의 재물이 되었던 것이었습니다. 어찌보면 민화공주의 염원이 깊었기에 흑주술이 성공했던 것이기도 했었죠. 민화공주는 비록 연우를 죽이기 위한 흑주술의 재물이 되었지만 허염과 혼인해서 허씨집안의 아이까지 임신하게 되었습니다.

18회에서는 훤이 비로소 진정한 조선의 왕이 되는 모습이었습니다. 사실상 조선의 조정은 외척세력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었죠. 윤대형(김응수) 대감을 위시해 왕실의 가장 윗사람인 대비에 이르기까지 외척이 정치와 군사력까지 장악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물론 훤은 이러한 외척세력이 기세등등한 궁궐에서 지난 8년이라는 시간동안에 고집스럽게 올바른 자신만의 정치를 해나가려 애를 썼지만, 마음대로 국정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정적인 때가 되면 외척세력들에 의해 중도에서 뜻이 꺾이지가 일쑤였습니다. 더욱이 궁궐에서 안사람에 해당되는 중전자리까지 윤대형 대감의 여식 보경(김민서)이 들어앉은 상태인지라 왕으로써 제대로된 국정수행은 불가능하기만 했습니다. 왕이 뜻하는 바를 이루기위해서는 훤에게 필요했던 것이 힘이었습니다. 그러한 힘은 왕이 주도적으로 만들어가는 힘이 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왕을 보좌하는 신하들에게서 나오기도 합니다.

훤의 아비인 성조(안내상)에게는 허영재(선우재덕)라는 대제학이 있었기에 외척세력의 힘을 약화시켜 균형을 맞출 수가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대비의 흑주술으 연우는 원인모를 병에 걸리게 되고 그로인해서 대제학의 가문은 멸문의 화를 당하게 될 위기에 놓이게 되었던 것이었죠. 하지만 허영재는 딸 연우의 신기를 끊기위해서 자신 스스로 연우의 목숨을 거두게 되었었죠. 하지만 그같은 결정은 국무 장씨(전미선)에 의해서 철저하게 2중으로 짜여진 음모이기도 했습니다. 대비의 위협을 받고 있던터라 장녹영은 대비의 눈을 속이면서 한편으로는 연우를 살리게 되었던 것이죠. 연우가 죽었음을 슬퍼하다 결국 허영재는 자결을 하게 되었고, 그 사실은 허염을 얻게 되었지만 민화공주의 죄책감을 만들어놓았습니다.

훤은 연우의 죽음에 의혹이 있음을 알아내게 되었고, 국무 장씨로부터 흑주술 시전과 그 뒤에 숨겨져있는 민화공주와 대비와의 밀약을 알아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민화공주를 벌하게 된다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누이를 벌하게 되는 결과였으니 가슴을 찢어놓는 고통이나 다름없는 일이었죠. 그렇지만 외척세력을 단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민화공주를 벌해야만 하는 입장이었습니다.

18회에서는 과거 어린 세자 훤과 왕이 된 훤이 만나는 장면이 이어졌는데, 민화공주로 인해서 괴로워하는 자신의 모습은 마치 과거 성조대왕과도 같은 모습이었습니다. 성조 역시 외척의 잘못을 모두 알고 있었습니다. 하다못해 연우가 죽게 된 연유에 대해서도 알고 있는 충격적인 모습이더군요. 연우의 죽음과 허영재의 죽음으로 허씨집안은 몰락을 눈앞에 두고 있었는데, 민화공주는 허염과의 혼인을 하게 되었죠. 그렇지만 민화공주와 허염과의 혼인을 두고 어린 세자 훤은 대신들이 보는 앞에서 왕인 성조에게 간언하게 되었습니다. 염을 왕족과 혼인시키는 것은 일할 수 있는 사람의 발목을 잘라놓는 것과도 같은 것이라 주장했던 것이죠. 성조에게 허염을 살릴 수 있는 길은 민화공주와의 혼인을 통해서이기도 했을 겁니다. 그렇지만 세자 훤의 그같은 상소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충분했고, 일거에 목숨까지 거둘 수 있게 하는 일이기도 했습니다.

과거 어린 훤은 세상의 모든 일들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일에 신명을 다했습니다. 바로 '정치'라는 것이 바를 정, 둘 치 즉 바르게 둔다는 것 즉 사람을 씀에 올바른 자리를 찾아 쓴다는 것이라 여기고 있었던 것이었죠. 하지만 왕이 된 훤은 과거에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그같은 의지를 잃어버리고 있었던 셈이었죠. 민화공주가 혈육이라는 것에 마음이 약해져 모든 것들을 덮으려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과거 성조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결정에서 번번히 혈육이라는 정때문에 마지막 결단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민화공주가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을 알면서도 모든 사실을 덮었던 것이었죠.

하지만 훤은 성조가 했었던 어려운 결정들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다름아닌 혈육이라는 점에 마음이 약해져 결정을 미루지 않고, 모든 것들을 제자리로 돌려놓으려 하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단죄한다는 것이 처음은 다름아닌 자신의 누이인 민화공주에게 죄를 물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을 시작으로 외척세력들을 없애려 하고 있습니다.

성조는 훤과 비교했을 때, 혈육이라는 정때문에 올바른 정치를 이어가지 못했었습니다. 하지만 군왕으로써 자신이 가진 것을 하나 내어줌으로써 사람을 살리는 치세를 이어갔었죠. 즉 대비와 외척세력의 압력에 자신이 대신 희생함으로써 벌어지게 될 소요를 잠재웠던 것이었습니다. 어쩌면 가장 슬픈 군왕의 자리를 지켜냈었던 왕이기도 해 보입니다. 아비인 성조에게 훤은 단지 자신의 의지만을 내세우는 철부지같은 세자였습니다. 의빈으로 봉해짐으로써 학사인 허염이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것은 선비로써 죽음을 선고하는 것이라 간언하는 것을 마다했었지만, 그같은 세자의 상소는 모든 표적을 허염에게 돌려세우기에 충분한 사건이기도 했었습니다. 성조는 그같은 세자의 행동을 우려했던 것이었습니다. 아직까지도 어린 세자였기에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반드시 자신의 소중한 것을 내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세자는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정치라는 것이었죠.

훤이 오열을 터뜨리게 되는 모습을 보면서 비로소 군왕으로써의 면모를 떠올렸던 것은 성조가 말했던 '지키고자 하는 것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반드시 자신의 소중한 것을 내어주어야 한다' 는 말이 생각났기 때문이었습니다. 훤은 세자빈 시해사건의 전모를 알고 있었고, 자신에게 소중한 누이인 민화공주를 벌해야만 합니다. 그것이 바로 왕이 된 훤이 내어주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지켜져야 하는 올바른 정치를 위해서는 잘못되어 있는 것들을 바로 잡아야 하는데, 거기에는 희생양으로 삼은 민화공주를 자신의 손으로 벌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세자였던 때와는 달리 자신이 직접 왕명으로 민화공주가 가진 전부를 앗아야만 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렇지만 소중한 것을 버려야만이 외척세력을 견제할 수 있는 상황이니 어쩌면 성조가 하지 못하고 죽을때까지 비밀로 삼아야 했던 것을 훤은 실행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성조와 훤 두 왕이 가진 다른 이상이라 보여지더군요.

대비를 찾아가 훤은 혈육이라 하더라도 죄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대비에게 온양행을 명합니다. 부탁이 아닌 마지막 효의 전부라 하며 왕으로써 명을 내린 것이었습니다. 과거 왕이 되었던 훤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는 결단성을 보여지기도 했었는데, 어찌보면 과거 성조가 하지 못했던 외척세력의 타도를 훤이 이루어낸 모습이기도 했습니다. 성조는 외척이 정치를 바르지 않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차마 그들을 벌할 수가 없었습니다. 바로 어머니였던 대비, 딸이었던 민화공주가 자신의 사촌동생이었던 의성군의 죽음에 개입되어 있었고, 세자빈이었던 연우의 죽음에 개입되어 있었기 때문이었죠. 오만방자하게도 왕의 권위를 넘어서고 있었던 외척세력에게 단죄를 내리지 못했던 것은 성조에게는 혈육이 갖는 약점으로 마음이 약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궁에서 암호랑이나 다름없던 대비의 혼절은 외척세력을 몰아냄으로써 올바른 사람들을 제자리에 기용한다는 훤의 정치의 시작이기도 했었고, 비로서 왕이 된 모습으로 보였습니다.(사진은 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출처 = mbc '해를품은달')

<유익하셨다면 쿠욱 추천버튼(손가락)을 눌러주세요~~ 글쓰는데 힘이 된답니다. 아래 구독버튼으로 쉽게 업데이트된 글을 보실수도 있답니다^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