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극드라마리뷰478 선덕여왕, 최고의 허패였던 비담-[적을 속이려면 아군부터 속여라] 월화드라마인 의 최고로 긴장감을 고조시킨 부분이 아니었을까 싶을만큼 일식이 일어나는가 일어나지 않을까의 결과가 시청자를 매료시켰다고 보여진다. 일식이라는 것이 천문 즉 견물에 의한 과학의 소산이라는 점을 놓고 볼 때. 미실(고현정)과 덕만(이요원)에게 있어서 일어나지 않느냐 일어나는가의 결과는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승부를 띄워야 하는 감추어진 패라 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미실에게 있어서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었다. 일식으로 인해서 자신의 명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덕만의 수에 말려들어가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달리 말하면 아무것도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부를 내야 하는 절대절명의 위기라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덕만에게 있어서 자신이 지니고 있는 패는 너.. 2009. 8. 26. 선덕여왕, 군중심리를 이용했던 히틀러가 생각나는 이유 월화드라마 에서 보여지고 있는 백성들의 모습을 생각해보면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다름아닌 독일의 독재자이자 독일인의 민족주의를 극대화시켜 놓았던 히틀러라는 인물이다. 1939년에 선전포고없이 폴란드를 침공해 세계 제 2차대전을 일으킨 장본이기도한 히틀러의 정치적 철학중에 하나가 히틀러의 저서 '나의투쟁'에서 자신이 반유대주의이며 독일 민족주의자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이 있다면 히틀러의 통치를 말할 때 빼놓지 않는 것이 바로 군중심리라는 것이다. 군중심리라는 것을 이용한 히틀러의 정치적 이용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일 법하다. 드라마 은 공주인 덕만(이요원)이 자신의 신분을 찾기위해 알천랑(이승효)과 월야(주상욱), 김유신(엄태웅)과 함께 견물적 지식을 이용해 사람들에게 두려.. 2009. 8. 25. 천추태후, 천추태후와 목종의 행보 갈수록 궁금해진다 사극드라마 가 부활탄을 쏘고 있는 모습이다. 그간 는 거란의 1차침입 이후 정치적인 안정을 그려내는 듯한 모습으로 일관하던 모습에서 새롭게 전쟁의 소용돌이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거란의 2차 침입의 시발점이 되는 목종에서 현종으로의 왕위의 계승과 천추태후의 몰락이 그려지고 있다. 목종(이인)의 폐위와 현종의 등극은 사실상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천추태후(채시라)와 김치양이라는 두 인물의 대립이라기 보다는 강조의 변으로 알려져 있다. 강조(최재성)는 김치양(김석훈)과 천추태후가 사통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고, 역사적으로는 김치양과 천추태후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음모를 꾀하다 발각되었다고 전한다. 역사적 사실 하나만으로 본다면 드라마 는 왜곡이라는 부분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 2009. 8. 23. 선덕여왕 26화, 엄태웅-숨겨진 연기본색을 깨워야 할 때다 월화드라마로 인기절정을 달리고 있는 에서 엄태웅이 때아닌 연기력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다름아닌 죽음을 맞은 천명공주(박예진)의 죽음앞에서도 얼굴표정 변하지 않는 표정연기에 대한 이유 때문이다. 아니 어찌보면 단순히 극중에서 천명공주의 죽음앞에서 슬픔을 연기해야 할 김유신의 모습에서 슬픔에 몰입되지 않았다기 보다 지금까지의 김유신이라는 드라마 상에서의 캐릭터를 지켜보는 시청자들에게 감정표현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옳을 법하다. 성인 연기자로 바꿔면서 본격적으로 의 주요 배우진으로 교체되면서도 정작 실질적인 주인공들인 선덕여왕인 이요원과 김유신 역의 엄태웅은 제대로 주연배우로의 자리를 꾀차지 못한 까닭이다. 이는 어찌보면 주인공인 선덕여왕을 다루면서도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2009. 8. 19. 이전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