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국내여행

[경주여행]경주 동궁과 월지, 연못에 비친 그림자에 절로 걸음이 멈추는 곳

by 뷰티살롱 2014. 11. 7.
반응형

 

 

신라문화를 이야기하면 천년의역사를 빼놓을 수 없다. 신라의 역사여행에서 경북 경주를 놓칠 수는 없을 듯하다. 경주를 여행하다보면 찾아볼 곳도 많고 볼거리도 많지만 무엇보다 신라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월성궁터일 듯 하다. 월성지구 유적지는 대표적인 관광지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신라역사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다양한 문화유적지를 만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인 곳은 어디일지 추천한다면 바로 과거 안압지로 알려져 있는 동궁과 월지다. 문무왕 674년, 삼국을 통일하고 국력이 강해지면서 궁궐도 커지게 되어 신라 왕궁의 별궁이며, 태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안압지 남쪽에 신라 궁인 월성이 있어 이곳까지 자연스럽게 커진 것으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던 곳이다.

 

 

'삼국사기'에는 안압지의 이름이 나오지 않고,‘궁 안의 못'으로만 기록되었다. 1980년대‘월지’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 파편이 발굴되며, 본래 이름은 ‘달이 비치는 연못’이란 뜻의 ‘월지'라고 불렀다. 안압지라 부르는 것을 바로 잡아야 할 듯하다.

 

 

이후,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곳이 폐허가 되자. 시인묵객들이 연못을 보며‘화려했던 궁궐은 간데없고 기러기와 오리만 날아든다.'는 쓸쓸한 시 구절을 읊조리고 그 때부터 기러기 '안'자와 오리 '압'자를 써서 ‘안압지’로 불리게 되었다.

 

 

안압지를 볼 때 주목할 만한 것은, 동서 길이 200m, 남북 길이 180m,총 둘레 1000m로 그리 큰 규모는 아니지만, 가장자리에 굴곡이 많아 어느 곳에서 보아도 연못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걸음만 조금 옮겨도 연못의 모습이 바뀌는 것도 하나의 매력이라 할만하다.

 

좁은 연못을 넓은 바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한 신라인들의 세련된 창의성이 돋보이며,  못 안에는 동양의 신선 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섬 세 개와 열두 봉우리를 만들었고, 물을 끌어들이는 입수 장치나 배수구 시설 또한 교묘하고 세심하다. 남천의 물을 끌어 월지에 담아 두는 시설이기도 한데, 물이 연못으로 들어오기 전에 정화시설이 3단으로 되어 있어 깨끗한 물이 스며들게 만들어져 있다.

 

 

신라시대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참으로 기상천외한 정화시설이라 할 수 있는 모습에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모습이다.

 

또한, 신라 특유의 우아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기와류, 화려한 금속 공예품들도 주목할 만하지만, 나무배와 나무로 만든 각종 건축 부자재, 나무편을 얇게 깎아 글을 기록한 목간 등도 매우 귀중한 생활 유물이다.

 

 

이 곳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만 무려 3만여 점으로, 왕실과 귀족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였던 실생활용품이 대부분인데, 예술성이 뛰어난 명품 700여 점을 선별하여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전시하고 있어 단일 유적지인 안압지에서 얼마나 대량으로 유물이 출토되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동궁과 월지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연못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수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그중 전시되어 있는 물건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마치 가위를 닮은 듯한 모습이기도 한데, 물건을 자르는 용도로는 보이지 않는 가위다. 다름아닌 불이 붙은 초의 심지를 자르는 물건으로 심지를 자르기보다는 불꽃을 꺼뜨리는 용도로 사용했던 금동가위라는 것이다.

 

이 밖에도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기와나 말장식에 사용되는 것들이나 당시 사용되었던 도구들이 대량으로 나왔다고 한다.

 

  

첫 번째 전각 안에 전시된 모형은 현재 월성 서남쪽에 복원중인 월정교의 모습인데, 월정교는 통일신라의 전성기였던 경덕왕 시절에 만들어진 것으로 신라의 궁궐 월성 남쪽에 있는 천을 건너던 다리이다. 

 

 

 

안압지에는 현재 연못과 세 개의 건물이 복원되어 있지만, 발굴 당시 이곳에서, 무려 스물여섯 곳의 건물터가 발견되었는데 앞쪽에 보이는 주춧돌은 모두, 건물들이 있었던 자리로, 현재 복원된 세 개의 건물은 안압지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고 한다. 

 

동궁터를 다니다보면 주춧돌을 발견하기는 쉽다. 이곳저곳에 들어나 있는 주춧돌을 보게 되면 기둥이 올라갈 것은 뻔한 이치고 기둥과 기둥을 이어 건물이 올라갔을 거라 상상하게 된다면 그 웅장함이 어느정도인지를 가름할 수도 있을 법하다.

 

 

 

 

주춧돌의 숫자를 세어가며 잔디밭 안쪽을 바라보며 걷다보면 이루 셀수 없고 어느샌가 숫자를 잊어버리게 된다. 신라시대의 웅장했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신라는 개방된 나라로 동아시아 문화와 경제를 교류했던 국가로 이곳 경주는 신라의 융성과 발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고, 선덕여왕때에 만들어졌던 문화유적도 볼 수가 있는 곳으로 많은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는 곳이다.

 

 

 

 

안압지 안에는 용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용왕전이라는 건물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안압지를 발굴 할 때 발견 된 ‘심신용왕’ 이란 글씨가 새겨진 토기가 그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심신용왕이란, ‘새로운 제물을 용왕께서 굽어 살펴 주소서'라는 뜻으로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도 이용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임해전으로 추정되고 있는 두 번째 전각은 당시 안압지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는 모형과 연못을 발굴할 때 나온 유물들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어 크고 화려했던 안압지의 옛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연못 바닥에서는 무덤 등에서 출토되는 껴묻거리와 달리, 각종 토기와 특이한 기와, 나무로 만든 빗, 글씨가 쓰인 나뭇조각 등의 생활용품들이 많이 발굴되어 통일신라시대의 일상생활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선도 발견되었는데, 이 목선은 배의 발달과정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다.

 

 

안압지 서쪽에는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가 있는데, 이곳에는 백제의 조경기술 녹아 있다. 백제는 일찍이 연못을 꾸미는 조경기술이 발달해 부여의 ‘궁남지'를 비롯해 많은 연못들을 만들었다. 안압지에도 백제의 조경기술이 접목되어 신라 속에 고구려, 백제의 문화가 녹아들면서 지금처럼 아름답고 과학적인 연못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안압지의 물길이 시작되는 입수구는 물을 끌어들이는 장치인데, 북동쪽에 있는 하천에서 물을 끌어와서, 이 장치를 거쳐 안압지로 들어간다. 마치 거북이를 음각한 것 같은 두 개의 수조가 아래위로 위치해 있는데, 이런 구조는 물에 섞여 있는 자갈이나 모래를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물은 수조를 지나 안압지 안으로 수직으로 떨어지는데, 낙하지점에 판판한 돌을 깔아서, 바닥의 침식과 구정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했다. 그리고 입수구 근처에 작은 인공 섬은 입수구를 통해 들어온 물의 흐름을 느리게 만들어서, 연못의 침식을 막아주고 물이 자연스럽게 순환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못의 반대쪽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있고 배수구에는 3개의 구멍이 세로로 나 있는데, 이 구멍에 나무마개를 끼워 수위를 조절했다. 이렇게, 안압지는 세심한 부분까지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연못이다.

 

 

1975년, 안압지를 발굴하던 중, 연못 바닥의 진흙 속에서 '주령구'라는 나무로 만든 주사위가 발견되었는데, 아이 주먹크기 정도의 14면체 주사위로 참나무로 만들어진 이 주사위 위에는 각 면마다 재미난 벌칙들이 새겨져 있었다.

 

술 석잔을 한 번에 마시는 삼잔일거 (三盞一去), 여러 사람 코 때리기 벌칙으로 중인타비 (衆人打鼻), 노래 없이 춤추기 벌칙인 금성작무 (禁聲作舞) 등 각 14면에는 다양한 벌칙이 적혀 있는데 특히 신라인들의 음주 습관과 풍류와 관련된 내용이 많다.

 

 

 

 

주령구는 정다면체가 아니기 때문에 각 면이 나올 확률이 완전히 같지는 않다. 그러나 목제 주령구를 이루고 있는 면의 넓이를 계산해 보면 정사각형 면이 육각형 면과 거의 같아서 각 면이 나올 확률은 거의 비슷한데 이런 주사위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고 한다.

 

출토된 진품은 유물 보존 처리도중 불타 버렸고, 지금은 복제품만 남아있다.

 

유물은 와전류를 포함하여 3만 여 점이 나왔다. 안압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부장품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신라 무덤의 출토품과는 달리 왕실과 귀족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였던 실생활용품이 대부분이다. 출토 유물 가운데 예술성이 뛰어난 명품 700여 점을 선별하여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전시하고 있다. 단일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로 전시관 하나를 다 채운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과거에는 임해전지(안압지)로 불리워졌었고,현재까지도 안압지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리워지고 있지만 2011년 7월부터는 경주 동궁과 월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용시간은 09:00부터이고 연중무휴로 입장이 가능하다.

 

입장료
※개인 : 성인 2,000원 군경 1,200원 청소년 1,200원 어린이 600원

※단체 : 성인 1,600원 군경 1,0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 

 

 

 

 

세계적인 관광도시 경주는 온 도시가 박물관이라고 할 만큼 천년 신라의 수도로서 간직하고 있는 고대 문화유적지와 세계문화유산까지 다양한 볼거리들이 많다. 첨성대를 비롯해 월성궁터와 계림 등이 그곳으로 모두가 경주관광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 하루에 관람할 수 있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일 듯하다.

 

하지만 경주의 보문단지와는 떨어져 있으니 하루만에 경주를 여행하기는 시간이 많이 걸릴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 두어야  할 듯 하다.

 

경주 신라유적단지는 너무도 유명하다. 최근 들어 영화, 드라마 등의 촬영지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할 것인데,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도 비담의 난이 일어났을 때에 월성에 대한 대목이 등장하는데, 동궁과 월지를 가르는 대로를 건너게 되면 월성 궁터가 나온다. 월성궁터는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는데, 과거 신라시대의 궁성터가 복원되게 된다면 웅장함에서 그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도 하다.

 

동궁과 월지를 찾는다면 가까운 곳까지 걸어서 관람할수 있는 삼릉과 첨성대 주변에 조성된 유채꽃밭과 산책로까지이어지는 길을 따라 걸어보기를 권한다. 첨성대로 이어지는 유채꽃밭 산책로를 거치게 되면 자연스레 계림에 닿게된다.

 

 

 

경주 동궁과 월지를 찾게 되면 사진기를 놀릴 틈을 주지 않는다.

 

그만큼 수려한 조경에 넋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니 말이다. 가장 사진을 찍기에 좋은 장소를 소개해 보자면 월지를 들어서서 세개의 복원건물을 지나 연못 반대편에 서 있을 지점이다.

 

 

 

 

 

 

연못에 비친 건축물의 잔영이 마치 환상적인 모습으로 사진사들을 유혹하게될 모습이기도 하다.

 

 

 

한순간 길을 잃는다.

 

월지에 도착해 청아하고 다소 소박한 듯 보여지는 길을 따라 걷다가 조금은 화려해 보이는 모습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연못의 형태에 감탄스러움을 자아내게 만든다. 월지는 어느 곳에서 바라보아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특징이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월지의 멋에 빠져들게 만드는 것은 연못속에서 또하나의 동궁을 발견하게 되는 순간일 듯하다.

 

<유익하셨다면 쿠욱 추천버튼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